본문 바로가기
건강 정보

어젯밤 팔팔 끓여둬서 괜찮다!? 꼭 봐야 할 식중독 예방 필수 지침!

by Hprotector 2025. 3. 16.

 

 

MergeSlime - Google Play 앱

귀여운 슬라임을 합성하여 모든 슬라임을 구출하세요

play.google.com

 

고온에서 '팔팔' 끓인 국이라도, 실온에서 서서히 식으면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. 특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균은 열에 강한 아포(spore)를 만들어 고온에서도 살아남다가, 적절한 환경에서 깨어나 증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

식중독균 퍼프린젠스, 봄철 발생 위험

이 식중독균은 특히 봄철(3~5월)에 기온 차이가 큰 아침이나 저녁에 조리한 음식을 낮 동안 실온에 방치할 때 잘 증식합니다. 고깃국이나 찜처럼 산소 차단이 가능한 조리용 솥 내부에서 대량 조리 후 실온에 두면, 식중독 위험이 급증합니다.

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 원인

  • 육류 조리 식품(닭, 돼지고기 등)이 가장 흔한 발생 원인입니다.
  • 이후 도시락, 복합조리 식품, 곡류 순으로 위험성이 나타납니다.
  • 실제 축제 전날 대량 조리 후 실온 보관한 장조림 사례에서 400여 명이 증상을 호소한 바 있습니다.

➡️ 증상은 묽은 설사, 복통, 구토 등으로 나타납니다.

 

 

안전한 조리 및 보관 방법

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리와 보관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. 육류는 중심 온도가 섭씨 75도 이상에 도달하도록 1분 이상 조리하고, 식힌 후에는 규칙적으로 저어 산소가 골고루 섞이도록 해야 합니다.

  • 조리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섭취할 것
  • 남은 음식은 여러 용기에 나누어 5도 이하의 냉장 보관
  • 재가열 시에는 온도가 60도 이하로 떨어졌다면 75도 이상으로 가열할 것

💡 안전한 식사 습관이 건강을 지킨다

고온에서 조리한 음식도 실온에 방치하면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. 조리, 보관, 재가열 등 기본 수칙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식중독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. 봄철에 특히 주의하여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세요!

➡️ 올바른 식품 안전 관리로 여러분의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.